캐시 만료 시점에 모든 요청이 DB를 찌르게되어 부하가 발생하는 문제인 Cache Stampede는 개발을 할 때 주의해야하는 사항 중 하나이다.
관련 내용은 아래 글에 잘 나와있다.
Cache Stampede를 해결하는 방식 중 분산락을 사용하는 방식이 있고, 그 중 가장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비용을 줄이기 위해 데이터 갱신을 실제 캐시 만료 시간보다 이전에 해서 Lock을 획득하지 못한 요청들은 아직 만료되지 않은 캐시에서 데이터를 들고가도록 하게끔 만들면 된다.
즉, 갱신을 위한 만료 시간(Soft TTL)과 실제 캐시 만료 시간(Hard TTL)을 구분하여 갱신을 수행하는 동안에도 캐시는 만료되지 않은 상태로 둔다. 이렇게 되면 Lock을 획득하지 못한 요청이 대기하지 않고 캐시에서 값을 읽어갈 수 있게 된다.
sequenceDiagram
participant C as Client
participant A as Server
participant R as Redis Cache
participant S as DB
C->>A: 데이터 요청
A->>R: 캐시 확인
alt 캐시 미스 상황
R-->>A: 캐시에 데이터 없음
A->>S: DB에서 데이터 조회
S-->>A: 데이터 리턴
A->>R: 캐시에 저장
A-->>C: 데이터 리턴
else 캐시 히트 상황 (Soft TTL이 지나지 않음)
R-->>A: 캐시 데이터 리턴
A-->>C: 데이터 리턴
else 캐시 히트 상황 (Soft TTL이 지남)
R-->>A: Soft TTL이 지난 데이터 리턴
A->>R: 락 획득 시도
alt 락 획득 성공
A->>S: DB에서 데이터 조회
S-->>A: 데이터 리턴
A->>R: 캐시 갱신
A->>R: 락 해제
A-->>C: 갱신된 데이터 리턴
else 락 획득 실패
R-->>C: Soft TTL이 지난 데이터 리턴
end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