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HAR의 경우 고정되게 255 만큼의 공간을 차지하지만 VARCHAR는 유동적으로 공간을 차지한다.
- CHAR도 UTF-4 같이 가변길이 문자셋을 사용하게되면 저장된 값의 길이를 관리한다.

- Latin1(고정길이 문자셋)을 사용하는 경우 CHAR(10) 은 10바이트를 글자수 상관없이 차지하지만 VARCHAR(10)의 경우 유동적으로 4 + 1 바이트만 사용하는 걸 알 수 있다.



- 기존 공간에 넣을 수 없다면 레코드를 이동시켜야함
- update, delete 과정에서 오버헤드가 든다.
- 이때 CHAR 컬럼이었다면? → 공간 낭비를 하곤있었지만 update, delete 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즉, 자주 변경되는 컬럼이라면 CHAR를 사용하면 페이지의 조각들이 덜 생기고, 레코드의 이동이 줄어들므로 효율적일 수 있다.
